- DGIST 서대하 교수팀,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단일 나노촉매의 화학 반응을 조절하고 관찰할 수 있는 실험 전략 개발 - 전자의 들뜸 현상 및 전이 경로를 이해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정확히 이해, 촉매 설...
- DGIST·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동연구팀,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통해 물 속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기술 최초 개발 - 큰 환경 문제로 대두되는 미세플라스틱을 비롯한 물 속 다양한 미세 독성 입자 문제 해결 기대 ...
- AI 기반 홀로그래피 기술로 일정 기간 저장된 적혈구세포의 품질을 정확하게 검사하는 기술 개발 - 환자에게 깨끗하고, 건강한 적혈구 주입 가능해…수술 후 수혈 부작용 발생 최소화에 도움 될 것으로 기대돼 ...
단순 구조 소자로 차세대 전원 공급장치 및 촉각 터치센서 활용 가능성 실마리 신축성 폴리염화비닐* 고분자 겔을 응용한 마찰전기 나노발전기**를 구현하여, 정전기로부터 얻은 에너지로 위치와 압력을 인식할 수 ...
- DGIST 진경환 교수 연구팀, 영상, 사진 관련 기존 알고리즘 대비 메모리와 속도는 절반이지만 해상도는 높아지는 기술 개발 - 영상, 사진 제품 개발 시 소프트웨어 등 알고리즘 활용 기대 DGIST (총장 국양) 전기전자...
- DGIST 박상현 교수 연구팀, 소수 데이터만으로도 새로운 물체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딥러닝 기술 개발 - 새로운 물체 인식을 위해 대규모 데이터셋 구축을 필요로 했던 딥러닝 모델 학습의 효율성 향상에 획기적 기여 예상돼 ...
- DGIST 임성훈 교수팀, 전 세계 각국의 주행 데이터를 하나의 신경망 모델에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딥러닝 기술 개발 데이터가 부족한 국내 자율주행 시장에 획기적 기여 예상돼 DGIST(총장 국양) 전기전...
- DGIST 김민석 연구팀과 ㈜씨티셀즈, 마커나 사이즈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혈중암세포 분리 통해 암진단 기술 고도화 구현 - 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으로 글로벌 선도제품 대비 우위의 성능 확보 및 의료기기 ...
- 압전섬유의 구성성분의 형태와 압전성능 간의 관계 규명 - 일상생활에서 버려지거나 소모되는 에너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섬유소재의 상용화 앞당겨 DGIST(총장 국양) 에너지융합연구부 ...
- 포타슘 배터리로 높은 이온전도, 우수한 전기화학 안정성 등 확보 - 차세대 고전압 포타슘 배터리에 적용 기대 DGIST(총장 국양) 에너지공학과 이호춘 교수 연구팀은 고전압 및 고에너지 밀도 포타슘 배터리에 적용...